케냐의 모바일 머니(Mobile Money)의 성공 사례

Global Poverty Wiki by GP3 Korea
이동: 둘러보기, 찾기

저자: Wolfgang Fengler

출처: http://bit.ly/Nz0rwJ


모든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경제적 능력이나 현재 위치와 상관없이 돈을 안전하게 송금하고 입금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는 공상 과학 소설의 이야기가 아니라, 모바일 머니 시장의 세계적인 강국이 된 케냐(Kenya)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들입니다.


오늘날 케냐에는 휴대전화 사용자가 성인 인구보다 많으며, 이들 중 80%는 모바일 머니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모바일 머니 시스템은 “M-PESA”라고도 불리는데, 케냐의 모바일 머니 혁신의 주도자이고 사파리콤(Safaricom)사의 CEO인 Michael Joseph에 따르면 M-PESA는 모바일 뱅킹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몇몇 회사들의 수준 낮은 서비스로 인해 많은 불만 사항들이 접수되고 있지만 인터넷 접속률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2년 안에 케냐는 개발도상국 내에서 인터넷이 가장 많이 보급되고, 현대적인 경제체제를 구축한 국가에 속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인구 한 명당 1년 평균 소득이 1,000달러(USD) 이하인 빈곤 국가 중에서는 이례적인 사례입니다.


케냐의 모바일 머니(Mobile Money)의 성공 사례.jpg

케냐에서 통신혁명은 특별한 일이 아니지만, 모바일 머니는 다릅니다. 전 세계적으로 6,000만 명의 사람들이 모바일 머니를 이용하고 있는데, 사용자 중 약 1/3이 케냐인입니다. 모바일 머니 거래량의 절반은 케냐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거래 금액은 매년 100억 달러(USD)에 달합니다.


이 현상으로 인해 사회, 경제적으로 상당히 큰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먼저, 비즈니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게 주인들이 더 이상 많은 양의 현금을 소지하거나, 공급업자에게 송금하기 위해 은행 앞에서 줄을 설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주자들은 더 이상 아이들의 학교 등록금을 내거나 친척들에게 송금하기 위해 교외지역으로 밤새워 이동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배우자가 돈을 마음대로 사용하기 어려워져 여성들의 권리도 강화되었습니다. 심지어 거시경제정책을 시행하는 것도 한결 수월해졌는데, 모바일 머니 시스템으로 인해 시중에 공급되지 않았던 돈이 시장으로 유통되면서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케냐의 이러한 모바일 머니의 성공은 국가적 자부심을 드높였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노력의 결실로, 전세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편 이러한 성공을 이끈 리더십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있는지 많은 이들이 알고 싶어했습니다. Hillary Clinton도 이 '획기적인 혁신'이 왜 미국에서는 불가능 하는지 궁금해 했습니다. 케냐보다 자금 유통량이 많은 나라들에서 조차도 왜 모바일 머니 시스템이 아직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요? 사용자와 운용자에게 많은 이득을 준다면, 모방이 창조보다 쉬운 점을 고려함에도 불구하고 케냐의 성공사례를 모방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케냐의 모바일 머니가 성공을 거둔 배경에는 3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인도(India), 필리핀(Philippines), 나이지리아(Nigeria), 탄자니아(Tanzania), 그리고 우간다(Uganda)는 케냐를 따라잡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케냐의 규제기관이 모바일 머니 상용화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중앙은행은 아주 진보적인 행보를 보였는데, 관리 감독에 대한 해당 기관의 책임을 대외적으로 표명함과 동시에 ‘진보를 위한 규제’를 펼쳤습니다. 중앙은행은 모바일 머니 사업체가 실질적으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아주 제한적인 규제만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반해 사업체들은 그 동안 시중 은행처럼 정기적으로 재무제표를 발표하는 등 규제 받는 모습을 보인 바 있습니다.


두 번째로, 사파리콤(Safaricom)과 같은 대중 이동통신 업체의 계획을 수립했던 것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007년에 사파리콤은 이미 5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파리콤의 이러한 입지는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 모바일 머니를 차용할 때는, 케냐의 사파리콤과 같은 독점적인 기업은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다른 많은 대안적인 모델들도 ‘제 3의 플랫폼’처럼 독점기업으로 얻을 수 있는 성공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의 목표가 “단기간의 수익을 내는 것 이상의 브랜드 가치를 형성시키는데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M-PESSA 프로젝트에서 순이익을 내는 데에 무려 3년이나 소요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실시 초반부터 간접 이익을 창출했는데,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케냐 시장에서 모바일 머니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고취시키고 음성통화와 SMS라는 핵심 사업으로 새로운 고객들을 유치했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로, 사파리콤사의 경영진은 M-PESSA의 성공이 궁극적으로는 기술보다 인사관리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이제까지 수많은 혁신들이 실패한 이유는 회사 경영을 상품 자체의 개발과 서비스의 시작에만 집중하고, 기술의 지속적인 관리는 등한시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접근해야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기계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필요하며, 상품이 출시된 후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통해 더 나은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습니다. M-PESSA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300건에서 오늘날 거의 3,000건으로 증가한 대리점과의 네트워크 형성에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이 케냐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모바일 머니 시스템은 앞으로 전세계적으로 상용화 될 것 입니다. 세계적으로 아직도 20억 명의 사람들이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 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들에게 모바일 머니 시스템은 굉장히 매력적인 제안이 될 것입니다.

개인 도구
이름공간
변수
행위
둘러보기
지구촌 빈곤문제 주제들
도구모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