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으로의 접근: 농촌 빈민들을 위한 가치사슬(Value Chain) 만들기

Global Poverty Wiki by GP3 Korea
이동: 둘러보기, 찾기

저자: IFAD(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출처: http://www.ifad.org/pub/market/market_e.pdf

농촌의 농업생산성 향상, 경제발전, 굶주림과 빈곤의 완화에 필수적인 조건은 바로 가난한 생산자와 시장 사이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 연계를 강화하는 것은 생산성과 소득을 높이고 식량안보(Food Security)를 향상시켜 선순환 (Virtuous circle)을 형성합니다. 소규모 생산자들이 국내외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수록 생산품을 더 높은 가격에, 더 많이 팔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농민들은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투자할 수 있게 되고 생산품의 수량이 증가하며, 품질의 다양성은 향상될 것입니다.

시장으로의 접근 농촌 빈민들을 위한 가치사슬(Value Chain) 만들기1.jpg

그러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안전한 저장시설, 전천후 도로(All-weather roads), 저렴한 교통 수단 등은 기본적인 요구사항입니다. 기본적인 사회기반시설의 보장과 더불어 정보를 얻는 일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현대의 가치사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시장가격과 수요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농민단체에 가입해 활발히 활동하는 것도 필요한 혜택을 누리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소규모 자작농이 조직화된 단체에 소속되면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선 규모의 경제를 통해서 생산의 규모를 늘리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민간부문의 영향력 있는 행위자와 협상하는 능력을 기를 수도 있다는 것은 가장 큰 이점들 중 하나입니다. 단체의 멤버십을 기반으로 금융, 가공, 비즈니스 서비스 등을 받게 되면, 농민들이 공평한 경쟁의 장에서 민간부문에 대응할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농촌의 가난한 생산자와 그들이 생산한 상품은 더 큰 농업 가치사슬 내 시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역적으로, 국가 또는 국제적으로 판매되는 모든 상품은 가치사슬의 일부입니다. 그리고 가치사슬이 연결되는 모든 지점들 마다 상품에 가치를 더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개발 측면에서 본 가치사슬은 시장의 힘을 이용해 가난한 농촌의 여성과 남성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입니다. 즉 생산자뿐만 아니라 임금 노동자,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주체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가치사슬 내에서 생산자가 다른 경제주체들보다 훨씬 적은 소득을 얻는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우간다의 커피 재배자는 런던의 소비자에게 제시되는 커피 소매 가격의 0.5%만 가져갑니다.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채소의 경우 최종 가격의 27%를 소매상인이 취득하는 반면, 짐바브웨(Zimbabwe)의 깍지완두콩 재배자는 12%를, 케냐(Kenya)의 채소 재배자는 14%만을 가져갑니다.

목차

누가 가치사슬 을 통제할까요?

가치사슬에 개입하여 가난한 농촌의 생산자들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려면, 다양한 행위자들 사이에서 힘과 통제력이 어떻게 분배되어 있는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고려해야 합니다. 즉 생산자가 가치사슬 내에서 상품의 양, 질과 가격을 결정하는 데에 얼만큼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알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가치사슬의 유형과 농민단체의 조직력에 따라 생산자 가격들에 관련된 다양한 결과가 나타납니다.

다시 말해 가치사슬에 개입한다는 것은, 농촌의 가난한 사람들이 가치사슬을 상향이동 시켜서 도매업자, 가공업자, 수출업자 등의 다른 행위자들이 가져갔던 이윤을 되찾도록 하는 일을 가리킵니다.

전통적 시장과 현대적 시장의 차이점

농업시장과 식품시장은 지난 30년 동안 크게 변화해 왔습니다. 각 지역의 시장(특히 도심지역)뿐 아니라 전체 국내시장을 아우르는 현대의 가치사슬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빠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전통적 시장은 현대의 시장과 함께 공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현대적 가치사슬과 전통적 가치사슬 사이의 구별이 그다지 명백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가치사슬 사이에는 눈에 띄는 차이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가치사슬이 현대화될수록 더 조직화되며 통합과 결속은 한층 강화됩니다. 즉 시장 참여자들의 관계가 체계화, 제도화되며 가공업자와 소매업자들이 주로 선호하는 공급자나 몇몇 전문업체만을 이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가치사슬에서는 대개 상품의 품질에 대한 기준이 높으며 이에 따라 보장된 품질, 안전 인프라, 집행제도(enforcement mechanism) 등이 요구됩니다. 가치사슬의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 가 중요하다는 사실도 더불어 부각됩니다.

반면 전통적 공급사슬(supply chains)은 조직화와 체계화의 정도가 낮고, 경제 활동의 행위자나 가치사슬 내부의 ‘연결점(link)’이 더 많습니다. 거래의 패턴이 불규칙하며 거래에 참여하는 행위자도 자주 바뀝니다. 기본적인 품질과 안전 인프라는 대체로 빈약합니다. 사고 파는 생산품의 종류는 가난한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농촌의 시장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도심도 예외는 아닙니다. 마케팅 단계 이전의 생산품 운송과 가공의 수준이 낮으며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 또한 중요한 문제로 다뤄지지 않습니다.

현대 가치사슬은 소규모 자작농들이 도심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고부가가치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부가가치 상품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높은 초기비용과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전통적 시장은 계속해서 수많은 소규모 생산자들에게 대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현대적 시장과 전통적 시장은 배타적이지 않습니다.


가치사슬과 관련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의 활동

가치사슬과 관련된 업무를 포함하는 국제농업개발기구의 지원 프로젝트는 지난 12년 간 그 비중이 대폭 향상됐습니다. 1999년에는 지원 프로젝트의 비중이 전체 프로젝트의3%에 불과 했으나 2009년에 들어서는 46%로 늘었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은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치사슬의 발전을 통해 빈곤을 완화하기 위해서 반드시 달성해야만 하는 네 가지의 목적을 수립했습니다.

•농가수취가격(Farm gate prices)을 높여야 합니다.

•강력하고 포괄적인 농민 단체를 설립해야 합니다.

•여성과 사회 최고 빈민층(Poorest social groups)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가치사슬의 효율성을 높여 소비자 가격을 낮춰야 합니다.

시장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의 활동

중앙 아시아(Central Asia)의 수출용 방적사

소규모 생산자들은 국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상품의 질과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이 과정은 외부의 지원을 필요로 합니다. 타지키스탄(Tajikistan)에서 앙고라(angora)와 캐시고라 염소 (cashgora goat)를 키우는 농촌 빈민가구들은 국제건조지역농업연구센터(ICARDA: International Center for Agricultural Research in the Dry Areas)에서 관할하는 지원 프로그램 도움을 받았습니다. 한 가구를 기준으로 진행된 이 프로그램 덕분에 그들은 번식용 가축의 질을 향상시켰고 기존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섬유질 가공법도 배웠습니다. 염소를 보유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는 염소의 생산성을 높이고 섬유의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알려줬습니다. 여성에게는 더욱 세밀하고 좋은 품질의 실을 뽑을 수 있는 기술을 가르쳤습니다. 북부 타지키스탄에 사는 농촌 여성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서 섬유를 가공하여 소득을 두 배로 증가시켰으며, 유럽과 미국의 시장에 가공된 상품을 팔기 시작했습니다.

키르기스스탄(Kyrgyzstan)의 경우, 국제농업개발기금(IFAD)과 국제건조지역농업연구센터(ICARDA)가 여성들이 수출용 고급 수공예 모직펠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지역 비정부기구인 중앙아시아수공예지원협회(CACSA: Central Asian Crafts Support Association), 그리고 국가농업리서치시스템과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2011년에는 계획들을 촉진하고 사람들을 도매업자와 직접적으로 연결해주는 지원 프로젝트의 웹사이트(www.adventureyarns.com)가 생성됐습니다.

민간부분의 투자가 우간다의 식물성기름 생산을 촉진합니다

공공부문과 사기업 간의 제휴는 가난한 농촌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가치사슬의 투자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의 역사상 가장 큰 공-사 제휴는 BIDCO 정유회사와 Wilmar 가 우간다에 미화 1억 2,000만 달러(USD)를 공동으로 투자한 것입니다. 이 투자는 기름야자나무(oil palm) 재배를 우간다에 소개하여 이 나라의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의 지원으로 약 1,500명의 소규모 자작농들이 기름야자나무 중 3분의 1을 정유공장에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이 공장과 플랜테이션에서 약 3,000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났습니다.

시장으로의 접근 농촌 빈민들을 위한 가치사슬(Value Chain) 만들기2.jpg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은 또한 북부 지역의 해바라기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15만 명의 농부들을 지원해왔습니다.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은 가난한 소비자들을 위해 식물성기름 제품과 비누의 가격을 저렴하게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이집트의 사막을 비옥하게 합니다

이집트에서는 재정착한 농부들과 과거 실업경험이 있는 대졸자들은 고부가가치의 농작물들을 사막의 개간지에서 경작하며 국내외 시장들에서 팔고 있습니다. 서 노바리아(West Noubaria) 지역에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의 지원 프로젝트가 농부들이 가치사슬을 상향이동 시켜 토마토나 살구, 복숭아, 오렌지, 유제품 등에 높은 가격을 받도록 돕고 있습니다.

가치사슬을 상향이동한다는 것은 단순히 도매업자가 되기보다는 가공업자에게 직접 판매하거나, 농장에서 가공 처리한 완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 자작농들은 토마토를 햇볕에 말려 가공하는 법을 교육받았습니다. 신선한 토마토가 미화 3달러에 팔리는 것에 비해, 이 말린 토마토는 킬로그램당 14달러에 판매됩니다.

지금의 비옥한 사막에서 농작을 하는 농부들은 일년에 6,000t 이상의 토마토를 하인즈(Heinz) 에 팔고 있습니다. 하인즈(Heinz)는 합의된 가격으로 수확량의 절반을 구매해 줄 것을 약속하며, 씨앗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농부들은 또한 샴 엘 셰이크(Sharm-el-Sheikh)에 있는 큰 호텔들에 오렌지와 모짜렐라 치즈를 공급하고 있으며, 독일에 땅콩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수출이 과테말라에서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의 지원을 받아 과테말라의 가장 소외된 지역의 소규모 자작농들은 사기업과 제휴를 맺었습니다. 이제 그들은 월마트(Walmart)를 포함한 세계에서 가장 큰 소매업체들에게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수입은 50%나 증가되었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엘 키체(El Quiche) 지역에서 지원활동을 시작 했을 때, 사람들은 주로 옥수수와 콩을 주식으로 먹었으며, 도로들은 거의 움푹 파여 있었고, 관개시설은 상상할 수도 없는 사치였습니다. 오늘날 이 지역의 남녀 농부들은 양파, 라디치오(radicchio), 강낭콩과 같은 환금작물 (cash crops)을 수확하여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 농부들은 총수입 80만 달러 이상을 벌고 있으며, 약 25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습니다. 과테말라 수출업자 연맹(Guatemalan Exporters Association)과 같은 민간부문 주체와의 제휴가 그들의 성공의 비결입니다.

시장으로의 접근 농촌 빈민들을 위한 가치사슬(Value Chain) 만들기3.png

개인 도구
이름공간
변수
행위
둘러보기
지구촌 빈곤문제 주제들
도구모음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