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나충증이 학교 출석률에 미치는 영향

Global Poverty Wiki by GP3 Korea
(버전 사이의 차이)
이동: 둘러보기, 찾기
Administrator (토론 | 기여)
(새 문서: 저자: Victor Namsaka Dittoh 출처: http://bit.ly/RerM5W 빈곤은 보통 개인의 수입이나 소비 패턴으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면, 세계 은행은 개인당 ...)

2013년 3월 4일 (월) 06:12 현재 판

저자: Victor Namsaka Dittoh

출처: http://bit.ly/RerM5W



빈곤은 보통 개인의 수입이나 소비 패턴으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면, 세계 은행은 개인당 하루에 지출하는 비용이 1달러(USD)일 때를 기준으로 국제 빈곤선을 제정했습니다[세계은행(World Bank), 2000]. 이 기준은 인간의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지출 정도를 의미하며, 수입이 이 선보다 낮아질 경우에 그 사람을 ‘절대적 빈곤’의 상황에 놓여 있다고 간주합니다. 현재 세계 인구의 5분의 1 정도가 절대적으로 빈곤한 상태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경제적으로 최상위 5분의 1은 현재 전세계 국민총생산의 85%와 세계 무역의 85%를 장악하고 있는 반면, 최하위 5분의 1은 전세계 국민총생산의 1.4%와 세계 무역의 약 0.9%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Oxfam, 1991).


결과적으로 빈곤층은 재정상태가 더 나은 사람들이 당연시하는 금전적 자유를 누리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음식과 보금자리, 교육과 보건 시설 등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것입니다. 또한 질병에 걸리기 쉽고 경제적 혼란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으며 자연 재해에 매우 취약합니다. 빈곤층은 국가 시설에서 홀대해도 대항할 능력이 없으며,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 사항에도 아무런 목소리를 낼 수 없습니다(Thaver and Bhutta, 2006). 이는 빈곤에 대한 진실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줍니다. 수많은 연구를 통해 소득 수준과 질병 발병률 간에 연관성이 강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대부분의 보건학 자료에서 이 연관성은 보건학 사상 가장 잘 입증된 결론이라고 설명합니다(Haines and Smith, 1997). 공중보건의 역사학자들은 질병과 빈곤 간의 ‘밀접하고 상호적인’ 관계에 대해서, 가난한 자들은 건강 관리에 있어서도 약자의 위치에 설 수밖에 없고 자신들의 빈곤함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Buor, 2003). 하루 벌어 하루를 먹고 살아가는 궁핍한 사람들은 급작스럽게 병에 걸렸을 때의 지출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수입이 감소하고 치료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어 가계는 더욱 빈곤해지고 빚도 늘어나 결국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됩니다(세계 물의 날, 2001). 실질적으로, 빈곤은 매년 5세 이하 어린이 1,220만 명의 주요 사망원인입니다. 410만 명은 극심한 호흡계 감염문제로, 300만 명은 설사와 이질 로 죽어갑니다. 성인은 270만 명이 매해 결핵으로 죽고 200만 명이 말라리아로 사망합니다(세계보건기구(WHO), 1995).


메디나충증(dracunculiasis) (드래컨큘러스증)은 의학용어로 ‘작은 용‘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dracuncul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메디나선충의 기생으로 발생하는 메디나충증은 예방 가능한 질병입니다(Abdikarim and Velema, 1999). 이 질병에 감염되면 대개 감염 후 1년 혹은 2년 후에 암컷 메디나충이 감염된 사람의 피부를 뚫고 나오게 됩니다.


메디나충중.png


이 질병은 동물에게도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이 질병은 북미와 중앙 아시아에서 유행하고 있지만 그 병원균이 다시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이 병은 아프리카 사헬(Sahel) 지역의 풍토병으로 모리타니(Mauritania)에서 에티오피아(Ethiopia)에 걸쳐 일어난 것이며 아시아와 몇몇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진압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시노동불능 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회, 경제적인 파급효과 또한 막대합니다. 메디나충증은 대부분 연못 등의 물을 마심으로써 감염됩니다. 1980년대에 이 병을 근절하기 위한 운동이 시작됐고 두드러진 변화를 이루어 냈습니다. 이 캠페인의 전략은 식수의 공급, 보건 교육, 그리고 감염 사례, 질병의 매개체를 관리해 주는 것입니다. 이 캠페인을 1차보건의료 와 통합하고 지형학적 정보 체계를 이용해 감염 사례를 도표화하려는 현재의 사안 역시 고려 중에 있습니다(Cairncross, Muller and Zagaria, 2002).


1986년 360만 건의 메디나충증 사례가 보고되었던 데에 비해 2000년에는 33% 감소하였습니다. 2000년, 전체 사례의 93%는 세계에서 가장 고질적으로 메디나충증이 유행하는 세 국가인 수단(Sudan)(73%), 나이지리아(Nigeria)(10%), 가나(Ghana)(10%)가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3%), 니제르(Niger)(2%), 기타 유행 국가(2%)에서 나머지를 차지했습니다(세계보건기구, 2000). 2003년, 피해가 가장 컸던 두 국가인 수단과 나이지리아의 발병 사례는 각각 63%, 4.5%로, 상당한 감소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가나의 경우에는 약 8,290개의 사례가 보고되면서 오히려 25.7% 증가했습니다(세계보건기구, 2004).


지난 20년 동안의 메디나충증 퇴치 노력은 카터 센터(Carter Centre), 빌&메린다 게이츠 재단(the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월드비전(World Vision)과 유니세프(UNICEF), 각 피해국가 내각의 협력 하에 꾸준히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예멘, 인도, 파키스탄에서 메디나충증을 완전히 몰아내 결과적으로 아시아 대륙에서 완전히 메디나충증을 퇴치시켰습니다(세계보건기구, 2000).


나이지리아가 75만 건의 피해규모를 2006년에 단 16건으로 줄이는 동안, 과거 감염국가인 아프리카의 베넹(Benin), 모리셔스(Mauritius), 우간다 (Uganda), 중앙아프리카 공화국(Central African Republic), 차드(Chad), 카메룬(Cameroon), 세네갈(Senegal), 그리고 케냐(Kenya)는 세계 보건 기구의 메디나충증 퇴치 증명서를 발급받았습니다(세계보건기구, 2006). 아프리카에서 메디나충 완전 퇴치를 선언하지 못하는 이유는 아직 수단, 가나, 그리고 말리에서 2005년 각각 5,569건, 3,981건, 659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되었기 때문입니다(질병관리센터, 2004).


가나에서 메디나충의 감염 피해는 1989년 18만 건에서 1994년 4만 건으로 줄었습니다. 그리고 2003년 다시 8,290건으로 증가했다가 2005년 3,981건으로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2007년 1월 발생한 1,001건의 새로운 피해는 세이브리구-난턴(Savelegu-Nanton), 톨론/쿰붕구(Tolon/Kumbungu), 옌디(Yendi), 동 곤자 지역(East Gonja), 그리고 타말레(Tamale) 도시지역에서 보고되었습니다. 모두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3,188건을 기록해 국가 총 피해의 77%를 차지했습니다(GHS, 2005).


톨론/쿰붕구(Tolon/Kumbungu) 지역에서 메디나충에 의한 감염피해는 2005년 이래로 계속해서 감소해 왔습니다. 2005년 총 907건, 2006년 827건, 2007년에는 421건까지 감소했습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53.6%의 질병 감소율을 보이는데 이는 카터 센터가 가나 지역에 관심 가지기 시작했던 때와 일치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3년 간의 전체 사례 자료는 1월에 가장 피해가 컸고 9월에 가장 피해가 적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의 통계를 바탕으로 낸 결론이지만, 2006년에는 2월에 가장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고 2007년에는 8월에 가장 적은 사례가 보고되는 등의 예외도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메디나충증이 전반적으로 한 해의 초반, 즉 1~4월 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빈곤한 지역 사회는 생존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천연 자원을 무분별하게 개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식수는 특히 취약한 자원입니다. 수많은 개발을 거치며 오염된 식수는 사회의 공공재 역할을 하지 못하며 오히려 사람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끼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세계 인구의 6분의 1에 달하는 11억 명의 사람들은 식수를 쉽게 접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고, 3분의 1인 24억 명의 사람들은 기본적인 수도 시설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합니다. 이 사람들은 모두 극빈 상태에 있습니다(Pittock, 2006). 식수 공급과 위생시설의 질이 향상됐을 때 설사병의 피해가 26%까지 감소하는 등 사람들의 건강이 좋아진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세계의 60억 인구의 40%는 허용 수준 이하의 위생 시설을 사용하고 있으며,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은 불결한 수원에서 길어온 식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세계보건기구, 2005).


메디나충증과 같이 극심한 고통을 동반하고 몸을 쇠약하게 하는 병은 수입이 적은 외진 지방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여기에서 빈곤이란 식용 가능한 식수를 접하기 힘든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빈곤과 물의 공급, 질병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라틴 아메리카의 비영리 단체의 다음 진술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수백만 명이 회충, 편충, 구충과 같이 물을 매개체로 감염되는 여러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음식의 영양분을 빼앗아 사람의 조직과 신체 기관을 파괴시키고 장에서 여러 구조적인 문제들의 원인이 되어 다양한 형태의 건강 문제를 불러옵니다. 마을과 도시는 적절한 공공 하수 처리시설에 기금을 댈 수 없고 많은 가구들은 물을 정화할 다른 대체 방안이 부족합니다. 결과적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들은 증가하게 됩니다. 이 오염된 배수구는 후에 박테리아, 콜레라, 장티푸스, 간염, 이질과 다른 질병의 발생을 가속화하는 바이러스, 기생충과 그 알까지 운반합니다. 더 나아가 콜레라, 장티푸스, 간염, 세균성 이질과 같이 생산성을 저해시켜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있는 병을 유행시킵니다. 따라서 빈곤은 질병을 가속화하고 사람들을 빈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할 수 있습니다(Community prosperity.org, 2002). ”


문제 분석

메디나충증은 가나의 주요 건강 문제 사안이 되고 있고 이것이 인구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심각한 수준입니다. 감염자는 학교 출석을 포함한 사회 활동에 있어 무기력해지고 비생산적으로 변합니다(Hopkins, 1998). 이 질병은 오염된 물을 마시는 것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감염된 지역에 휴대용 식수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시 말해서 휴대용 식수 공급의 부족이 이 질병의 확산의 유일한 원인입니다.

가나의 북쪽 지역에 위치한 톨론/쿰붕구(Tolon/Kumbungu) 지역은 빈곤선 이하에서 살고 있는 인구가 69%로 가나에서 세 번째로 빈곤한 지역입니다(가나 통계, 2008). 13만 2,883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2.7%의 인구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1km²당 50명이 거주하는 인구 밀집도입니다.

게다가, 이 곳은 곡류, 콩류, 야채, 덩이줄기류, 목화 그리고 담배와 같이 국가 식품과 이익 창출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작물을 재배하는 농부들의 거주지입니다.

그러나, 60~ 70%의 인구는 휴대 가능한 식수가 없고 2004, 2005 학년도에는 고등학교에서 남학생들의 63.7%, 여학생들의 73%가 중퇴했습니다. 이처럼 이곳은 가나에서 메디나충증 발병률이 높은 지역입니다[톨론/쿰붕구(Tolon/Kumbungu), 2008].

인구 성장률이 2.7%이고 농경의 비율이 매우 높은 이 같은 지역에서는 메디나충증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메디나충증은 주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오며 결론적으로 국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메디나충증과 학교 출석률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중퇴 비율 기록과 질병의 발병을 조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강이 악화되면 학교 출석률 또한 낮아집니다. 비정규정인 출석과 중퇴의 원인은 교육의 부재로, 빈곤과 건강 악화의 악순환을 끊을 수 없게 합니다(Sridhar, 2009).

메디나충증이 빈곤 악화와 빈곤 관련 질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식수 공급, 메디나충증, 교육과 빈곤의 연관성에 대해 더 알아보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빈곤의 악순환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메디나충증 재발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조사하고 이 경로들을 통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개인 도구
이름공간
변수
행위
둘러보기
지구촌 빈곤문제 주제들
도구모음
공유하기